본문 바로가기
Unreal Engine

Unreal Engine 변수 연산자 (Variable Operators)

by hfgraphic 2025. 10. 14.
반응형

 

➕ 변수 연산자 (Variable Operators)

 

자, 이제 **변수 연산자(Variable Operators)**에 대해 이야기할 시간입니다. 이 네 가지가 우리가 가진 주요 변수 연산자입니다.

연산자를 사용하면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Integer 변수 연산자 사용 (코인 예시)

 

  1. 변수 선택: 우리가 가진 코인 수량(Amount of Coins) 정수 변수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2. 연산자 검색: 이 변수 노드에서 핀을 당겨 연산자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덧셈: 'plus' 또는 **'+'**를 작성합니다.
  • 뺄셈: 'minus' 또는 **'-'**를 작성합니다.
  • 나눗셈: 'divide' 또는 **'/'**를 작성합니다.
  • 곱셈: 'star' 또는 **'*'**를 작성합니다.
  1. 덧셈 예시: **'plus'**를 작성하고 클릭하면 덧셈 연산자 노드가 나옵니다.
  • 코인 수량은 현재 20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예를 들어, 100을 더해서 300이 되게 할 수 있습니다.
  1. 결과 출력: 이 결과를 Print String 노드에 연결하여 화면에 출력합니다. (정수는 자동으로 문자열로 변환됩니다.)
  2. 실행: **Compile (컴파일)**하고 **Play (실행)**를 클릭하면 화면에 300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여러 연산자 사용 및 순서 확인

  • 다중 연산: 연산자를 여러 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200 (코인) + 100을 하여 300을 만듭니다.
  • 그런 다음, 300에서 핀을 당겨 **'divide'**를 작성하고 3으로 나눕니다. 이제 결과는 100이 될 것입니다.
  • 실행: 노드를 Print String에 연결하고 CompilePlay를 클릭하면, 왼쪽 상단에 100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핵심: 연산자들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에 사용되며, 원하는 만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입력

 

3. Float 변수 연산자 사용 (무게 예시)

  • 이러한 연산자는 당연히 숫자 변수 유형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Float (부동 소수점) 변수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 Float 연산: Weight (무게) Float 변수(75.8)에서 핀을 당겨 **'divide'**를 작성하고 5로 나누겠습니다.
  • 색상 구분: 노드의 색상이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수(Integer)**는 파란색이고, **Float (부동 소수점)**은 밝은 녹색인 등, 색상을 통해 다른 변수 유형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 결과 출력: 이 Float 결과를 Print String에 연결하면, Float이 문자열로 변환되어 출력됩니다.
  • 실행: Compile하고 Play를 클릭하면, 75.85로 나눈 값인 15.16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론: 변수 연산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에 사용되며, 숫자 변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