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nema4D19

Particle Reveal 효과주기 - X-Particle Object Manager 에서 보는 것처럼 Particle의 그룹 1, 그룹 2를 생성하고 Field를 통해 그룹 2로 전환시키면서 nxExplode, nxTurbulence를 적용시키도록 설정합니다. 1. **텍스트 객체 설정**: - 원하는 텍스트 객체를 생성하고, XP 방출기를 사용하여 텍스트 표면에서 파티클을 방출하도록 설정합니다. 2. **파티클 폭발 효과**: - Nexus에서 NX 폭발 수정자를 사용하여 파티클을 텍스트 중심에서 멀리 날려 보냅니다. - 속도를 150으로 설정하고 변동을 100으로 설정합니다. - 속도 시작만 설정을 해제하여 파티클이 계속해서 바깥쪽으로 나가도록 합니다.3. **난류 추가**: - NX 난류 수정자를 추가하여 파티클의 움직임에 세부 사항을 .. 2025. 4. 26.
Particle Sparks - X-Particles xpSplineGrowth를 통해 Line을 생성되고 사라지면서 Particles도 생성되고 사라지는 시뮬레이션입니다. Length 가 0%에서 100%으로 애니메이션 설정하고 완성된 Line이 보여주는 시간을 설정한 후 다시 0%으로 애니메이션을 주어 Line이 사라지게 설정하면 Particles도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 xpEmitter는 방출부분이 Edge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xpSplineGrowth는 Spline Object에 Child로 설정해서 효과를 줍니다. 텍스트 스플라인 생성:"HFgraphic" 텍스트 스플라인을 자유형 스플라인으로 변환.Close Spline을 비체크해준다.스케치 도구를 사용하여 자유형 스플라인을 생성해서 작업을 해도 된다.XP 방출기 설정:XP 방출기를 객.. 2025. 4. 26.
Field를 통해 사라지는 Particles 이펙트 - X-Particles ### 씬 설정우리 씬에는 텍스트 객체에서 입자가 방출되고, 이 입자들이 넥서스의 Follow Geo를 사용하여 텍스트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시뮬레이션이 있습니다. 강한 난류가 입자들에게 멋진 난류 움직임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이제 입자들을 자유롭게 하고, 그들이 소멸하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입자 그룹 설정1. **xpEmitter Groups**: 두 개의 새로운 그룹을 추가합니다. 첫 번째 그룹만 모드로 설정하여 모든 입자가 태어나면 그룹 1에 배치됩니다. 그룹 2는 현재 아무것도 하지 않습니다.2. **nxFollowGeo**: 그룹 1만 영향을 받도록 설정합니다. 따라서 현재 모든 입자가 그룹 1에 있으며, Follow Geo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필드와 질문 사용1. **Anim.. 2025. 4. 26.
xpOpenVDBMesher에 Motion Blur 적용하기 - X-Particles 일반적인 객체 모션 블러는 OpenVDB 메셔와 같은 볼륨 메쉬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볼륨 메쉬의 포인트는 매 프레임마다 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추적할 수 없습니다.하지만 OpenVDB 메셔를 사용하여 모션 블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1. 메셔의 태그 탭으로 이동하여 'Transfer Velocity'를 활성화합니다.2. 활성화하면 x, y, z 속도 정보를 포함한 4개의 버텍스 맵이 생성됩니다.3. 이 정보를 레드쉬프트에 전달합니다. 태그 -> 렌더 태그 -> 레드쉬프트 객체 태그로 이동하여 모션 벡터를 활성화하고 맵을 링크 필드에 드래그합니다.4. 레드쉬프트 렌더 설정에서 모션 블러와 변형 블러를 활성화합니다. IPR에서는 모션 블러를 볼 수 없으므로 전체 렌더링을 .. 2025. 4. 26.
면을 따라 움직이는 Particles - X-Particles mtSelect를 통해 Child로 있는 오브젝트의 면을 Noise 맵을 통해 애니메이션으로 설정하고 xpEmitter로 mtSelect에서 추출한 Polygon 선택태그에서 방출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nxTurbulence로 랜덤한 움직임을 만들고 nxFollowGeo로 움직임을 선택된 Polygon 면에 한정시키고 속도가 너무 빠르지 않도록 nxSpeed로 제어합니다. 최종적으로 mtSelect에서 Field 영역에 Particle이 방출할 수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mtSelect에서 SELECTION FROM에서 원하는 SubObject를 Click해서 선택해주면 된다. 선택하면 주황색으로 아이콘이 바뀌고 Tag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추출한 Tag에 맞게 체크해 주면 Viewport에서.. 2025. 4. 26.
TerraFormFX에서 Displacement Map 추출 - X-Particles TerraFormFX는 INSYDIUM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지형 생성 도구로, 사용자에게 고도로 맞춤화된 풍경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도구는 다양한 노이즈, 셰이더, 텍스처, 스플라인 및 그라디언트를 레이어링하여 산, 호수, 강 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주요 기능완전한 아트 디렉션 가능: TerraFormFX는 사용자가 산, 언덕, 계곡, 강 등을 추가하고 다양한 필터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다양한 블렌드 모드: 여러 블렌드 모드, 셰이더 및 마스킹 옵션을 통해 독특한 풍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직관적이고 유연한 워크플로우: 거의 모든 해상도로 지형을 생성할 수 있는 직관적이고 유연한 워크플로우를 제공합니다.멀티스레드 지원: 모든 CPU 스레드를 활용하여 빠르고 .. 2025. 4. 26.
Particles Drag with nxDrag - X-Particles 기본 설정은 xpEmitter를 통해 좌우로 방출하도록 하고 nxTurbulence를 통해 난기류 흐름을 만듭니다. 그 후 nxDrag를 통해 Particles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X-Particles의 xpEmitter는 Cinema 4D에서 입자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xpEmitter는 다양한 입자 효과를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설정과 옵션을 제공합니다.기본 설정xpEmitter를 추가하려면 Cinema 4D 메뉴에서 X-Particles 항목을 선택한 후 xpEmitter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장면에 xpEmitter가 추가됩니다.주요 기능입자 모양: xpEmitter는 사각형, 원형, 타원형, 구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입자를 방출할.. 2025. 4. 23.
Gradually Disappearing Particles Simulation Settings xpEmitter Settings:Create 2 Groups: Set the Mode to "First Group Only".Group 1: Set Emit Form to "Object Volume" for the desired object.Set Emission to "Shot" and Shot Type to "Random" to fill the object.nxQuestion Settings:Neighbors: Configure particles to gradually transform from outside to inside into Group 2.Apply nxWind and nxColor to Group 2.Set nxWind Mode to "Von Karman". if, else if, an.. 2025. 4. 14.
X-Particles을 이용한 점점 사라지는 Particles 시뮬레이션 설정 xpEmitter 설정:2개의 Group 생성: Mode는 "First Group Only"로 설정.Group 1: 원하는 오브젝트에 대해 Emit Form을 "Object Volume"으로 설정하고, Emission은 "Shot"으로, Shot Type은 "Random"으로 설정하여 오브젝트를 채움.nxQuestion 설정:Neighbors를 통해 Particles가 밖에서 안으로 점점 Group 2로 변환되도록 설정.nxWind와 nxColor가 Group 2에 적용되도록 설정.nxWind의 Mode는 "Von Karman"으로 설정.if, else if, 그리고 else는 조건문을 설정할 때 사용되며, 각기 다른 조건을 테스트하고 그에 따라 다른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X-Particle..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