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quence (시퀀스) 노드를 이용한 코드 정리
Sequence (시퀀스) 노드는 코드를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1. Sequence 노드 생성 및 역할

- 생성: **실행 핀(Execution Pin)**에서 선을 당겨 **"sequence"**를 작성하고 클릭하면 Sequence 노드가 생성됩니다.
- 역할: 이 노드는 길게 늘어지는 단일 코드 라인 대신, 코드를 여러 개의 분리된 섹션으로 나누어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순차적 코드 실행

Sequence 노드는 연결된 핀을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 Then 0 (첫 번째 핀): 이 핀에 연결된 코드를 가장 먼저 실행합니다. 이 첫 번째 코드 섹션이 모두 실행된 후에야 다음 핀으로 넘어갑니다.
- Then 1 (두 번째 핀): 첫 번째 코드가 완료되면 이 핀에 연결된 코드를 실행합니다.
- Then 2, 3, ...: 필요한 만큼 핀을 추가하여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시:
- Then 0에 **Print String ("First Message")**을 연결합니다.
- Then 1에 **Print String ("Second Message")**을 연결합니다.
- 이 경우, **"First Message"**가 출력된 후 **"Second Message"**가 출력됩니다. 시퀀스 노드는 코드를 **"이것을 먼저 하고, 그다음 이것을 하라"**고 명령하여 순서를 지정합니다.
3. 코드 정리 활용 예시


이전에 만들었던 경주 게임 코드를 시퀀스 노드로 정리해 봅시다.
- 기존 코드: 코드가 하나의 긴 선으로 이어져 있어 복잡해 보입니다. (예: Event → 코드 A → 코드 B → 코드 C...)
- 시퀀스 적용:
- Event에 Sequence 노드를 연결합니다.
- Then 0에 'Add Steps' 이벤트 호출과 화면 출력 로직을 연결합니다.
- Then 1에 **'Steps Taken'**이 25와 같은지 확인하는 Branch 노드 로직을 연결합니다.
- 결과: 코드는 여전히 동일하게 작동하지만, 시퀀스 노드를 통해 **"1. 걸음을 추가하고 출력한다"**와 **"2. 걸음 수가 25인지 확인한다"**라는 두 가지 논리적 섹션으로 코드가 분할되어 훨씬 깔끔하고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Sequence 노드는 코드가 너무 길거나,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보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쉬울 때 코드를 정리하는 용도로 사용하세요.
반응형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nreal Engine 반복문(Loops)의 이해와 활용 (0) | 2025.10.27 |
|---|---|
| Unreal Engine Flip-Flop 노드와 활용 (0) | 2025.10.27 |
| Unreal Engine 실행 흐름 (Execution Flow) 소개와 Is Valid (유효한가) 노드와 실행 흐름 (0) | 2025.10.27 |
| Unreal Engine 배열 함수 (Array Functions)와 활용 (0) | 2025.10.27 |
| Unreal Engine 배열(Arrays)의 개념과 원리 (0) | 202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