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인 객체 모션 블러는 OpenVDB 메셔와 같은 볼륨 메쉬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볼륨 메쉬의 포인트는 매 프레임마다 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추적할 수 없습니다.하지만 OpenVDB 메셔를 사용하여 모션 블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메셔의 태그 탭으로 이동하여 'Transfer Velocity'를 활성화합니다.
2. 활성화하면 x, y, z 속도 정보를 포함한 4개의 버텍스 맵이 생성됩니다.
3. 이 정보를 레드쉬프트에 전달합니다. 태그 -> 렌더 태그 -> 레드쉬프트 객체 태그로 이동하여 모션 벡터를 활성화하고 맵을 링크 필드에 드래그합니다.
4. 레드쉬프트 렌더 설정에서 모션 블러와 변형 블러를 활성화합니다.
IPR에서는 모션 블러를 볼 수 없으므로 전체 렌더링을 해야 합니다. 렌더링을 시작하면 모션 블러가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블러의 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값으로 설정하면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버텍스 맵을 평활화합니다.
xpOpenVDBMesher의 General 탭에서 Tags 섹션에 있는 다양한 옵션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General 탭의 Tags 섹션 옵션 설명
- Transfer Velocity:
- 설명: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입자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속도 정보를 메쉬로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레드쉬프트와 같은 렌더러에서 모션 블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빠르게 움직이는 유체 시뮬레이션에서 모션 블러를 적용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Max Velocity X, Max Velocity Y, Max Velocity Z:
- 설명: 각 축(X, Y, Z)에서 최대 속도를 설정합니다. 이 값은 속도 맵의 최대값을 제한하여 너무 큰 값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방지합니다.
- 사용 예: 특정 축에서 너무 큰 속도 값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렌더링 아티팩트를 방지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Smoothing:
- 설명: 속도 맵을 평활화하여 인접한 버텍스 간의 속도 차이를 줄입니다. 이를 통해 높은 모션 블러 값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모션 블러를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아티팩트를 줄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Transfer Point Color:
- 설명: 입자 색상 정보를 메쉬로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메쉬가 입자의 색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입자 시뮬레이션에서 생성된 색상 정보를 메쉬에 적용하여 렌더링할 때 사용합니다.
- Transfer Foam:
- 설명: 입자 시뮬레이션에서 생성된 거품 정보를 메쉬로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거품 효과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 유체 시뮬레이션에서 생성된 거품을 렌더링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Transfer Velocity를 체크하면 Tag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edshift Tag를 만들어주고 생성된 Tag를 적용해주면 된다. Scele 값을 통해 블러에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반응형
'Cinema4D'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icle Sparks - X-Particles (0) | 2025.04.26 |
---|---|
Field를 통해 사라지는 Particles 이펙트 - X-Particles (0) | 2025.04.26 |
면을 따라 움직이는 Particles - X-Particles (0) | 2025.04.26 |
TerraFormFX에서 Displacement Map 추출 - X-Particles (0) | 2025.04.26 |
Particles Drag with nxDrag - X-Particles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