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토리텔링6

스크립트를 감각적인 스토리보드로 변환하기 이번 글에서는 스크립트를 감각적인 스토리보드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글로 된 이야기를 시각적인 장면으로 바꾸는 과정은, 제게 있어 이야기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스크립트를 분해해야 합니다.스크립트를 각 장면과 주요 순간으로 나누고, 시각적으로 표현해야 할 핵심 동작, 감정, 대사를 파악해야 합니다. 그다음으로는, 각 샷을 시각화해야 합니다.구도를 어떻게 잡을지, 카메라 앵글, 프레이밍, 시점을 고려하여 이야기 전달력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이제 여러분에게 포토샵에서 러프한 낙서를 시작으로, ComfyUI를 활용하여 전문적인 스토리보드 이미지로 바꾸는 방법을 보여드릴게요.저처럼 그림 실력에 자신이 없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2025. 6. 8.
스토리텔링 댄 하몬의 스토리 서클(Dan Harmon’s Story Circle) 우리가 좋아하는 이야기 구조에 거의 다 왔지만, 하나만 더 소개하고 싶어요. 특히 여러분이 단편 이야기 형식을 만들고자 할 때 유용한 구조입니다. 우리는 이 수업에서 실제로 단편 이야기를 만들게 될 거예요. 혹시 같은 캐릭터들이 같은 세계관에서 여러 에피소드를 겪는, 에피소드 형식의 이야기들을 구상하고 있다면 이 구조가 특히 도움이 될 거예요. 매번 새롭고 신선한 이야기로 보이게 만들면서도, 비슷한 구조를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제가 가장 간단하고 강력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은 바로 **댄 하몬의 스토리 서클(Dan Harmon’s Story Circle)**이에요. 댄 하몬은 《커뮤니티》와 《릭 앤 모티》의 공동 창작자로, 반복되는 스토리 구조 속에서도 늘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데 능.. 2025. 6. 5.
AI 활용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과정 이제 본격적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과정, 즉 시나리오 집필 단계에 들어갑니다. 우리는 이미 이야기 구조와 캐릭터를 정리했습니다. 이제 해야 할 일은 이 이야기들을 문서화하는 것입니다 — 환경에 대한 설명, 등장인물의 행동, 정확한 대사 등을 써서, 배우들이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죠. 혹시 이미 시나리오를 작성해 본 경험이 있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거나 포맷에 대해 헷갈리는 경우라면 지금부터 아주 정확한 방식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방식은 다른 제작자나 스튜디오가 여러분의 비전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시작해볼까요? 스크린플레이(시나리오)의 생김새처음 시나리오를 봤을 때 저도 “왜 이렇게 오래된 타자기 문서처럼 생겼지?”라고 생각했.. 2025. 6. 5.
스토리텔링을 스토리 구조 분석 이제 여러분은 사실상 모든 훌륭한 이야기의 기본 구조를 보게 된 셈입니다. 이야기를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 주인공이 겪는 좋고 나쁜 운명의 흐름—이것이 스토리텔링의 기초 골격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교훈 하나를 뽑자면, 관객은 “차이”에 끌린다는 점입니다. 예상과 실제 사이의 갭. 관객이 일이 잘 풀릴 거라고 예상하면 갑자기 나빠져야 하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끊임없이 예상을 뒤엎어야 관객의 관심을 붙잡을 수 있습니다. 이걸 당장 내 이야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요? 조금이라도 경험이 있다면 물론 가능합니다. 하지만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좀 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 소개할 구조는 Blake Snyder의 「Save the Cat」 비트 시트입니다. 시나리오.. 2025. 6. 4.
스토리텔링 보네거트(Kurt Vonnegut) 이야기 구조 만약 미국 작가 커트 보네거트(Kurt Vonnegut)를 믿는다면, 그의 글뿐 아니라 YouTube에서 볼 수 있는 영상들도 꼭 확인해보길 권합니다.**영웅의 여정(The Hero’s Journey)**은 그가 정리한 8가지 이야기 구조 중 하나일 뿐입니다. 보네거트는 자신이 첫 소설을 쓰기 전, 대학 시절에 신약성경과 신데렐라 사이에 놀라운 유사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많은 유명한 이야기들을 분석하면서, 이야기들이 공통적으로 따르는 구조는 무엇인지, 그리고 작가로서 어떤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했죠. 보네거트의 아이디어를 따르려면 먼저 두 개의 축을 이해해야 합니다. 세로축(y축): 행운(좋은 일) ↔ 불운(나쁜 일)→ 주인공이 이야기 속에서 겪는 경험의 질을 나타냅니.. 2025. 6. 4.
AI를 활용한 스토리 구조의 기초 이해 이번 글에서는 스토리 구조의 기초에 대해 다룹니다. 이는 어떤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가장 먼저 해야 할 단계일 수 있습니다. “왜?”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이건 AI 애니메이션 수업인데, AI도 애니메이션도 안 나왔잖아?”맞는 말이에요. 그런데 제가 먼저 이 이야기를 꺼내는 데는 개인적인 이유가 있어요.제가 지금까지 정말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AI 영상을 많이 봐왔는데, 서사가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런데 사람들은 서사가 있을 때 비로소 그 작품에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됩니다. 그래서 스토리텔링의 부재가 종종 AI는 영혼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라고 생각해요.하지만 사실 AI는 스토리텔링에 굉장히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좋은 소식부터 드릴게요.한 번도 이야기를.. 2025.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