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번 글은 블렌더의 셰이더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고 노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텍스처와 색상을 혼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기본 장면 설정: 블렌더에서 기본적인 장면을 보여주고, 테이블, 의자, '수잔'이라는 원숭이 모델, 그리고 몇몇 다른 물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렌더링 뷰: 렌더링 뷰에서 장면의 모습을 보여주며, 녹색과 빨간색 물체가 반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셰이딩 탭: 블렌더의 셰이딩 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보여줍니다.
- 셰이더 생성 및 관리: 셰이더를 생성하고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기본적으로 Principled BSDF 셰이더와 Material Output 노드가 생성된다고 언급합니다. 이미 블렌더 파일에 존재하는 다른 셰이더를 사용하는 방법도 보여줍니다.

- 노드 시스템의 이해:
- 노드의 종류: 셰이더 노드(녹색)는 표면 정보를 만들고, 볼륨 노드(Volume)는 부피 정보를 만듭니다.
- 노드 연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정보가 흘러가는 시스템입니다.
- 노드 조작: 노드를 이동(G), 크기 조절(S), 연결(F), 연결 끊기(클릭 드래그 또는 Ctrl + 우클릭), 재경로 설정(Shift + 우클릭)하는 방법을 시연합니다.
- 색상 혼합 예시: Mix Color 노드를 사용하여 두 가지 색상(녹색과 파란색)을 혼합하고, Color Ramp 노드를 사용하여 색상을 대비시키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Node Wrangler 애드온: Node Wrangler 애드온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애드온은 노드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며, 특히 Ctrl + Shift + 클릭 단축키를 사용하여 특정 노드의 결과를 바로 미리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노드 연결이 복잡해질 때 매우 유용합니다.

반응형
'Blen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er 3점 조명 스튜디오 제작해보기 (0) | 2025.07.14 |
---|---|
Blender 렌더 엔진이란? (0) | 2025.07.13 |
Blender 램프를 사용하여 장면을 조명하는 방법 (0) | 2025.07.13 |
Blender 렌더 슬롯을 활용한 이미지 비교 (0) | 2025.07.13 |
Blender HDRI 이미지 관리 및 활용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