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리얼 엔진에서 여러 가지 조명 기법을 사용하여 장면을 꾸미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1. 낮과 밤 시간대 변경하기

언리얼 엔진에서는 몇 번의 클릭만으로 낮과 밤의 시간대를 손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
- 키보드에서 Ctrl과 L을 동시에 누르면 기즈모가 나타납니다. 누르고 있는 상태이어야 합니다.
- 마우스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태양의 위치가 바뀌면서 장면의 시간대와 조명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이 기능은 스카이 애트모스피어(Sky Atmosphere), 디렉셔널 라이트(Directional Light), 스카이라이트(Skylight)세 가지 요소가 모두 존재할 때만 작동합니다.
- 특히 단일 프레임 렌더링을 할 때 매우 유용하며, 이 기능을 사용하면 훌륭한 조명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2. HDR 백드롭(Backdrop) 사용하기

HDR 백드롭은 장면의 배경과 조명을 한 번에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 기본적으로 언리얼 엔진에는 HDR 백드롭 옵션이 없으므로, 플러그인에서 HDR Backdrop을 검색하고 활성화해야 합니다.

- HDR 백드롭을 장면에 추가하면 장면 전체를 감싸는 구체 형태의 이미지가 나타납니다.
- 이 이미지에는 **지오메트리(Geometry)**와 **스카이라이트(Skylight)**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방법의 장점은 HDR 이미지가 직접 보이므로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고, 주변 환경 조명도 자연스럽게 연출된다는 점입니다.
- 다만, HDR 백드롭은 보통 부드럽고 흐릿한 그림자를 만듭니다. 이 방법으로 얻는 조명은 훌륭하지만, 그림자가 선명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디렉셔널 라이트(Directional Light)와 렉트 라이트(Rect Light)로 그림자 조절하기
HDR 백드롭의 부드러운 그림자를 보완하여 선명한 그림자를 얻으려면 다른 조명 요소를 추가해야 합니다.
3.1. 디렉셔널 라이트(Directional Light) 추가하기

- **디렉셔널 라이트(Directional Light)**를 추가하면 그림자가 더욱 선명해집니다.
- 디렉셔널 라이트는 태양과 같은 역할을 하며,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그림자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더욱 현실적인 조명과 그림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3.2. 렉트 라이트(Rect Light)로 조절하기

- 또 다른 방법으로 **렉트 라이트(Rect Light)**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렉트 라이트는 면 형태의 조명으로, 특정한 영역을 밝히는 데 유용합니다.
- 렉트 라이트의 **소스 위드(Source Width)**와 **소스 하이트(Source Height)**를 조절하여 빛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을수록 그림자가 선명해지고, 클수록 그림자가 부드러워집니다.

- **반 도어 앵글(Barn Door Angle)**과 **반 도어 렝스(Barn Door Length)**를 사용하여 빛이 비추는 영역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이 방법은 디렉셔널 라이트 없이도 원하는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각 조명 소스를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장면 전체를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모든 장면에 완벽하게 맞는 하나의 조명 기법은 없습니다. 다양한 조명 방법(예: 시간대 변경, HDR 백드롭, 디렉셔널 라이트, 렉트 라이트)을 시도하고, 각 옵션의 설정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조명을 찾아야 합니다.
반응형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Engine 야간 조명 설정하기 (0) | 2025.09.13 |
---|---|
Unreal Engine 렉트 라이트(Rect Light)와 HDR 백드롭(HDR Backdrop)을 사용해 실내 환경에 사실적인 조명연출 (0) | 2025.09.13 |
Unreal Engine 조명(Light) 다루기 (0) | 2025.09.10 |
Unreal Engine 5의 루멘(Lumen) 기능 이해하기 (0) | 2025.09.10 |
Uneal Engine Post Process Volume 사용하기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