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real Engine

Unreal Engine 3D 모델 가져오기

by hfgraphic 2025. 9. 9.
반응형

 

3D 모델 가져오기(Import)

이 글은 Unreal Engine 5에서 3D 모델을 가져오는 방법에 대한 튜토리얼입니다. 이 글은 3ds Max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다른 소프트웨어(SketchUp, Revit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1. 최적화된 모델 준비

  • Unreal Engine으로 모델을 가져오기 전에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NaniteLumen 기술 덕분에 많은 버텍스를 가진 모델을 가져올 수 있지만, 불필요한 버텍스를 줄이는 것이 여전히 성능에 도움이 됩니다.
  • 가구 뒷면이나 벽의 외부 등 보이지 않는 부분의 버텍스를 삭제하면 모델을 더 가볍게 만들 수 있습니다.
  • ProOptimizer 모디파이어를 사용하여 버텍스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 때는 Keep Textures 옵션을 활성화하여 텍스처 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2. 모델 내보내기 (Export)

  • 모델을 Unreal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먼저 3ds Max에서 내보내야 합니다.
  • File > Export > Export Selected를 선택하여 특정 모델만 내보낼 수 있습니다.
  • 전체 장면을 내보내려면 Export를 선택하면 됩니다.
  • 내보낼 파일 형식은 FBX를 선택합니다.
  • 이때 Corona 또는 V-Ray 같은 렌더링 엔진의 재질 정보는 FBX 파일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Unreal에서는 기본 재질로 대체됩니다. 이 부분은 추후 수정해야 합니다.

 

3. 언리얼 엔진으로 가져오기 (Import to Unreal Engine)

  • Unreal Engine을 열고, Blank Architecture Template을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을 지원하는 GPU를 사용하면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Content Browser에서 새 폴더를 생성하고 이름을 '3D_Model'로 지정합니다.
  • 폴더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Import를 선택하여 내보낸 FBX 파일을 가져옵니다.
  • 이때 FBX Import Options 창이 나타나는데, NaniteCollision 옵션을 활성화하면 모델의 성능과 물리적 충돌 처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모델을 가져오면 Content Browser에 스태틱 메시(Static Mesh)와 재질(Material) 파일이 생성됩니다.
  • 재질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재질 편집기(Material Editor)가 열리고, 여기서 기본적으로 적용된 흰색 재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모델 수정 및 재가져오기 (Reimport)

  • 가져온 모델을 Unreal Engine의 뷰포트에 드래그하여 배치합니다.
  • 모델의 Gismo가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모델의 피벗을 원점(0, 0, 0)에 맞추고 다시 내보내야 합니다.
  • 모델을 수정한 후 Unreal Engine에서 다시 가져오려면 Content Browser에서 해당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Reimport with New File을 선택합니다.
  • 수정한 파일(.fbx)을 선택하여 가져오면 모델이 업데이트됩니다.

 

5. DataSmith 플러그인 사용

  • DataSmith는 3ds Max, SketchUp, Revit 등 다양한 3D 소프트웨어의 파일을 Unreal Engine으로 쉽게 가져올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플러그인입니다.
  • DataSmith를 사용하면 레이어별로 모델을 체계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3ds Max에서 Layer Explorer를 사용하여 모델을 '벽(Wall)', '가구(Sofa)', '식물(Flowers)' 등으로 레이어를 나누는 것을 권장합니다.
  • 이렇게 레이어를 나누어 가져오면, 특정 모델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의 원인을 쉽게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DataSmith 플러그인은 Unreal Engine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6. DataSmith 플러그인 설치 및 사용

  • Google에서 'datasmith for 3ds max' 를 검색하여 Unreal Engine 공식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 사용 중인 Unreal Engine 버전(예: 5.0)에 맞는 DataSmith 익스포터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합니다.
  •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 3ds Max를 재시작하면 DataSmith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7. DataSmith로 모델 가져오기

  • 언리얼 엔진에서 File > DataSmith > File Import를 선택합니다.
  • 3ds Max에서 DataSmith 플러그인으로 내보낸 .udatasmith 파일을 선택합니다.
  • 가져올 옵션을 선택하고 Import를 클릭하면 모델이 Unreal Engine으로 가져와집니다.
  • 이 과정에서 재질, 텍스처, 조명, 카메라 등 다양한 정보를 그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가져오기 과정 중에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텍스처나 재질 관련 경고이므로 무시하고 OK를 눌러 계속 진행합니다.

 

8. 최종 확인 및 다음 단계

  • 모델이 성공적으로 가져와지면 Content Browser에 새 폴더가 생성되고, 그 안에 모든 스태틱 메시와 재질, 텍스처 파일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 가져온 모델을 뷰포트에 드래그하여 배치하고 노출(Exposure) 값을 조정하여 장면을 더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 가져온 모델은 레이어별로 분리되어 있어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거나 숨기기 용이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