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질(Material)이란 무엇인가요?
이번 강의에서는 **재질(materials)**에 대해 알아봅니다.
새로운 장면(기본 큐브만 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현실과 3D의 차이
- 현실 세계:
- 나무, 금속 같은 재료를 가져와서 물건을 만듭니다.
- 예: 나무를 잘라서 문을 만들고, 가공해서 조립합니다.
- 3D 그래픽 세계(Blender):
- 반대로 먼저 **형태(문, 상자 등)**를 만든 다음
- 그 위에 “이건 나무야!“라고 재질을 지정해줍니다.
- 즉, “나무처럼 보이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Blender뿐만 아니라 모든 3D 소프트웨어에서 동일합니다.
재질이 적용되는 대상
- Mesh(메시) 객체에만 재질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빛(Light)**이나 **카메라(Camera)**에는 재질이 없습니다.
- **볼륨(Volumetric)**도 재질을 가질 수 있어요 (예: 불, 연기, 물 등)
예를 들어:
- 불이나 물도 재질이 있습니다.
- 만질 수 없지만 색과 빛의 특성이 있으니까요.
재질 속성 기본
Blender에서 재질을 적용하려면:
- 우측 속성창의 재질(Material) 탭 선택
- 재질이 할당된 객체를 선택했을 때만 재질 항목이 보입니다.
- (라이트나 카메라에는 보이지 않음)
Surface 속성에서 조정할 수 있는 항목:
- Base Color (기본 색상)
- Roughness (거칠기)
- Metallic (금속성)
- 기타 고급 속성은 나중에 다룹니다.
Base Color (기본 색상)
- 색상 선택기에서 색을 바꿔도 아무 변화가 없을 수 있어요→ Z 키 → Material Preview(재질 미리보기) 로 전환
- → 이제 색상이 보입니다!
- → 그 이유는 현재 뷰 모드가 Solid(단색) 이기 때문입니다
Roughness (거칠기)
- 값이 1: 완전 거칠고 빛 반사가 없음 (예: 돌, 콘크리트)
- 값이 0: 완전 매끄럽고 빛이 반사됨 (예: 유리, 거울)
- 중간값: 현실적인 표현 가능 (예: 나무, 플라스틱 등)
Metallic (금속성)
- 값이 1: 완전히 금속처럼 보임
- 값이 0: 비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 Roughness와 함께 조절하면 금속 질감 구현 가능
Normal (노멀 맵)
- 실제 표면에 홈이나 요철이 없어도 있어 보이게 만드는 기능
- 예: 작은 흠집, 벽돌 무늬, 거친 질감 등을 **텍스처(이미지)**로 구현
- 노멀 맵은 재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렌더뷰에서 확인
- Z → Rendered 모드로 전환하면
- → 조명과 재질 효과가 실제처럼 반영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
- Blender에서 재질은 형태에 외형과 성질을 부여하는 요소입니다.
- 이번 시간에는 가장 기본이 되는 속성인
- Base Color, Roughness, Metallic, Normal을 소개했습니다.
- 나중에 다양한 재질과 텍스처 적용 방법도 다룰 예정입니다.
반응형
'Blen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er 기초 모델링 숲속의 건물 4 (0) | 2025.05.13 |
---|---|
Blender 기초 Texture 이론 (0) | 2025.05.12 |
Blender 기초 모델링 숲속의 집 3 (0) | 2025.05.12 |
Blender 기초 모델링 숲속의 집 2 (0) | 2025.05.12 |
Blender 기초 모델링 숲속의 집 1 (0) | 2025.05.12 |